•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시흥시의회

[5분발언] 성훈창 시의원, "중견도시에 걸맞는 대중교통 체계 개편을"

[시흥타임즈] 16일 열린 시흥시의회 제321회 임시회에서 국민의힘 성훈창 시의원이 5분 자유 발언을 통해 50만 넘는 중견도시에 맞는 대중교통 체계를 만들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성 의원은 발언에서 "마을, 마을을 연결하는 시골의 노선체계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며 "대중교통을 전면적으로 손 볼 때가 왔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 첫 번째 조처가 노선대개편"이라고 했다.



[아래는 성훈창 시의원의 5분 발언 전문이다.]

인구가 50만명이 넘으면 행안부나 도청, 교육청의 대우가 달라지는 외부적 변화도 있지만, 우리 내부적으로 변해야 할 것들이 있습니다.

시흥시의 제일 절실한 것은 구심력을 갖추는 일입니다. 우리 시흥시는 밖으로 향해 있는 원심력의 도시였습니다. 1989년 시로 승격할 당시 시흥시 시민은 경찰서 볼 일이 있으면 광명으로, 교육문제는 안산교육청으로 가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그로부터 35년이 흐른 지금 사정은 좀 나아졌을까요. 주말이면 쇼핑, 유흥 등을 위해 안산으로, 서울로, 부천으로 갑니다. 시흥의 젊은이들은 모두 나가서 결혼식을 합니다. 시흥 사람들이 다른 도시에서 만나 인사를 나누는 것이 이제는 익숙합니다. 

이제 60만명을 바라보는 대도시로서 시흥시가 제 모습을 갖추려면 구심력을 가져야 합니다.  

시흥시가 구심력을 갖추는데 핵심적 사안이 대중교통입니다. 대중교통은 수요가 공급을 낳기도 하지만, 공급이 수요를 만들기도 합니다. 그런 점에서 시흥시의 대중교통 모습은 구심력 없는 시흥시의 상황을 보여주기도 하지만, 구심력을 더 떨어뜨리는 부정적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버스 노선별 운행 빈도를 선의 굵기로 표시한 그림입니다. 인근 도시로 향하는 선이 굵은 반면 시흥 시내의 권역들을 이동하는 선은 약합니다. 이제 대중교통 노선체계를 손보아서 도시가 구심력을 갖추는 계기로 삼아야 합니다.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면, 인구 60만의 도시에 맞는 버스 노선 체계로 바꿀 때가 되었고, 이를 신속히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마을, 마을을 연결하는 시골의 노선체계가 지금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런 체계에서 버스회사는 손해 볼 일이 없고, 노선 체계가 아무리 나빠도 버스를 탈 사람은 탄다는 배짱으로 여기까지 온 것입니다. 

그러나, 도시 전체가 입는 손해를 생각해야 합니다. 인구 십만이 살던 땅에 60만이 살게 되었습니다. 대중교통이 불편하니 사람들은 저마다 자동차를 굴립니다. 그러면서 더욱 자동차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시흥에서는 차 없이 못 살아’, 이런 말이 예부터 있어왔지만, 인구 60만 이상의 도시에서 이런 말은 지역의 정치와 행정에 대한 비난이라는 것을 이젠 알아야 합니다. 

대중교통을 전면적으로 손 볼 때가 왔습니다. 그 첫 번째 조처가 노선대개편입니다. 노선대개편의 요지는 이런 식입니다. 3개의 노선을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시흥시의 남부, 중부, 북부에 노선이 걸쳐 있는 63번 버스가 있습니다. 배곧에서 출발, 월곶을 돌아, 장곡, 시흥대로를 거쳐 대야를 잇는 노선입니다. 

이 경우는 시흥시청에서 노선을 잘라 두 개의 노선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오이도에서 시청역까지 한 노선, 시청에서 은행단지는 별개의 노선으로 분리해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그리고 시청역의 허브 역할을 강화해야 합니다. 

이 노선도 연구 대상입니다. 부천과 안산을 연결하면서 시흥을 거쳐가는 61번 노선입니다. 부천역까지 가면 될 것을 부천터미널소풍까지, 안산역까지 가면 될 것을 안산공단까지 쭉 늘어뜨린 노선입니다. 

그리고 디귿자 모양으로 어디를 들어갔다가 다시 나오는 모양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하상동을 들어갔다가 다시 나오고, 장곡동에서도 디귿자 형태를 보여줍니다. 이 노선 하나에 마을버스, 지선, 간선의 특성이 다 들어 있는 것입니다. 

하상동이 오지여서 노선 하나가 들어갔다 나온다고 생각한다면 대중교통에 대해 모르고 하는 소리입니다. 하상을 지나는 버스 노선이 6개 입니다.    

부천, 시흥, 안산을 연결하면 누가 봐도 간선버스입니다. 간선 노선에 맞게, 마을버스, 지선버스 성격을 줄여야 합니다.  

마을버스 노선도 서울, 인천 같은 대도시 마을버스와 성격이 다릅니다. 마을버스는 마을과 마을을 잇는 것이 아니라, 마을 내에서 구석구석 다녀야 합니다. 지금 5번 마을버스의 예에서 보듯, 장곡, 능곡, 연성을 잇고 있습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권역과 권역을 잇는 것은 간선, 권역 내부를 잇는 것은 지선, 마을 내부를 도는 것은 마을버스, 이 구분이 이제는 자리 잡아야 합니다. 

노선을 개편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노선이 재산인 버스 회사들, 주민들의 반발도 있습니다. 업체가 주민들을 들쑤시기도 합니다. 그러나 시흥시의 대중교통을 생각하면 수술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대중교통을 이용해도, ‘자가용보다 두 배 이상 걸리지 않게 하겠다’는 목표를 내 걸고, 대 수술에 착수해야 합니다. 

시흥시의 가장 큰 민원은 불편한 대중교통입니다. 그러나 그 문제를 해결해야 할 사람들은 아무도 대중교통을 이용하지 않습니다. 그러니 시민의 고통을 알 수도 없고, 해결할 방법도 모릅니다. 그리고 오늘도 대중교통을 이용하지 않을 수 없는, 가장 약한 계층이 시내버스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배너
배너

관련기사

배너


배너


미디어

더보기
"공인중개사 사칭해 비밀번호 요구"…직거래 플랫폼 악용한 부동산 사기 기승 [시흥타임즈=대표/편집장 우동완] 시흥시 거모동에서 정상 영업 중인 A공인중개사는 최근 황당한 전화를 받았다. 자신이 전혀 관여하지 않은 오피스텔 소유자가 “비밀번호를 알려달라고 요청한 사람이 A공인중개사가 맞냐”고 묻는 전화였다. 더 놀라운 건, 상대방이 A공인중개사를 사칭하며 허위 명함을 보내 소유자로부터 비밀번호를 받아냈다는 사실이었다. 해당 명함에는 A공인중개사의 상호와 주소가 적혀 있었고, 실제 직원이 아닌 정체불명의 남성 사진까지 버젓이 실려 있었다. 의심을 품은 오피스텔 소유자는 직접 A공인중개사에 연락했고, 그제야 사칭 피해 사실이 드러났다. 이후 A공인중개사는 2일 시흥경찰서에 정식으로 진정서를 접수했다. A공인중개사는 “누가 어떤 의도로 이런 일을 벌였는지 당황스럽다”며 “일반 시민이 피해를 볼 수 있는 상황인 만큼 경찰의 신속한 수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문제는 이 같은 유사 사례가 시흥시 전역에서 반복되고 있다는 점이다. 신천동에서 중개업을 하는 C공인중개사는 최근 D직거래 플랫폼에 올라온 상가 매물을 보고 이상함을 느꼈다. 해당 상가는 원래 자신이 중개 중인 물건이었는데, 시세보다 약 1억 원가량 저렴하게 직거래 매물로 올라온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