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편집실에서] 노동자지원센터의 슬픈 ‘데자뷰’

[시흥타임즈=대표/편집장 우동완] 중국집 배달원, 편의점 알바, 공단 노동자 등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해 추진된 ‘시흥시노동자지원센터(아래 지원센터)’가 시의회 예산심의 과정에서 반대의견에 부딪혀 여·야가 갈등을 겪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심의를 미뤄오던 시흥시의회 자치행정위원회는 7일, 예산안 통과에 반대하는 자한당 의원들이 모두 퇴장한채 더민주 의원들만 남아서 안건을 통과 시켰습니다.

노동자지원센터는 지난 2014년 1억7,500만원의 예산이 배정되었다가 예산 통과 전 민간위탁공모를 시행했다는 절차상 이유로 시의회가 반대하면서 좌초된 적이 있습니다.

당시 민주노동자시흥연대는 시청 앞에서 시의회를 규탄하며 반대한 의원들의 이름을 프랭카드에 걸고 천막농성에 돌입했지만 뜻을 이뤄내진 못했습니다.

비정규직의 고통과 애환을 보듬고 포용해야 할 시의회가 다시 반대 의견을 제시한 것은 2014년 당시와 비슷한 ‘절차’의 문제입니다.

이번엔 민간위탁동의안이 통과되지도 않았는데 예산(1억5,500만원)이 먼저 편성됐다는 이윱니다. 반대하는 시의원들은 이러한 절차적 하자와 노사민정협의회와 업무가 중복된다는 이유 등으로 불가하다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공단인근 도시로써 비정규직의 비애는 말로 다 하지 않아도 익히 아는 바입니다. 이미 안산 등 인근 도시에선 비정규지원센터가 설립되어 조사, 상담, 교육 등을 왕성히 시행하고 있습니다. 그에 비해 우리 시흥시는 너무나 늦은 감이 있습니다. 

법을 엄격히 준수해야 하는 의회에서 절차의 문제는 매우 중요한 사안입니다. 그러나 돌이켜 보건데 집행할 수 있는 조례가 없음에도 예산을 먼저 통과시켰던 과거 사례에 비추어 보면 절차보단 의지가 더 중요해 보이기도 합니다. 

절차를 그렇게 중요하게 따지는 의회가 “그때는 되고, 지금은 안 된다”는 논리로 나온다면 반대의견으로써 시민사회가 쉽게 납득할 수 없을 것입니다. 

더욱이 시흥시 전체노동자 3명중 1명이 비정규직인 상황(2017년 시흥시 전체노동자 193,079명 중 비정규직은 70,281명)을 감안 한다면 노동자의 권리보장 등을 위해 센터의 설립은 시급하다 할 것입니다. 

이번 사안은 시의회가 노동자와 힘없는 서민을 포용하고 보호할 의지가 있는가에 방점이 있다고 봅니다. 절차에 문제가 있다면 지적하여 보완하고 추진하면 될 일입니다. “이것이 문제다, 저것이 문제다”로 가로막는 것은 다른 정치적 의도가 있다고 봐야합니다.

노동자지원센터의 예산을 오히려 늘려야 한다는 여론이 있는 실정에서 의회는 시대의 요구에 뒷걸음질 쳐선 안 될 것입니다. 

지금도 일터 곳곳에서 노동자들에게 자행되는 소외와 차별, 고통, 하소연에 눈감지 마시길.

배너
배너

관련기사

기자정보

프로필 사진
우동완 기자

차가운 머리와 뜨거운 가슴으로 뛰겠습니다.

배너


배너


미디어

더보기
“주요 커피 생산국이 시흥을 주목한다”… 거북섬 세계커피포럼 성료 [시흥타임즈=대표/편집장 우동완] “세계 주요 커피 생산국이 시흥을 주목하고 있습니다.” 지난 11일 경기 시흥시 거북섬에서 열린 제1회 거북섬 세계커피포럼에서 박영순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커피학과 외래교수는 이렇게 말했다. 박 교수는 지난 2023년부터 매년 시흥시 은계호수공원 일대에서 열리고 있는 세계커피콩축제가 이미 전 세계 커피 생산자들 사이에서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 그에 따르면 남미, 아프리카, 남아시아 등 주요 커피 생산국 관계자들이 축제에 앞서 열리는 WCC세계커피대회(World Coffee Championship)에서 세계 최고의 커피를 선정하는 분야인 <K-커피어워드> 대회 우승 커피농장 발표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박 교수는 “세계커피대회에서 우승한 국가나 농장은 한국 시흥에서 열리는 커피콩축제의 공신력을 인정하고, 이를 자국의 홍보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세종사이버대학교 바리스타·소믈리에학과 김경민 교수 역시 “우리 대회에서 우승한 커피 농장의 원두가 이미 세계 시장에서 높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며 “시흥 커피대회가 국제 커피시장에 실질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세계커피콩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