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시흥시의회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즉각 중단하라"

시흥시의회 민주당, 오염수 방류 규탄 및 철회 결의

[시흥타임즈] 8일 시흥시의회 더불어민주당이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규탄 및 철회 촉구 결의안'을 채택하고 일본 정부는 오염수 해양 방류 추진을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아래는 결의안 전문이다]

시흥시의회 더불어민주당 의원 일동은 57만 시흥시민과 5천만 대한민국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를 강력히 규탄한다.

지난 2021년 4월,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에 보관 중인 오염수를 30년에 걸쳐 해양에 방류하는‘오염수 해양 방류계획’을 확정했으며, 앞서 우리 시흥시의회는 일본의 방류 계획 즉각 철회를 촉구한 바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를 포함한 주변국과 국제사회의 지속적인 반대에도 불구하고 일본 정부는 오염수 해양방류 계획을 일방적이고 독단적으로 밀어 붙이고 있다.

일본 정부는 오염수를 다 핵종 제거설비(ALPS)로 정화 처리해 세슘을 비롯한 62종의 방사성 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정화되지 않는 삼중수소(트리튬)는 반감기가 12년에 불과해 2011년 발생한 동 일본 지진 이후 위험성이 현저히 낮아져 바닷물로 희석한 후 농도를 낮추어 배출하면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환경단체와 전문가들은 그동안 일본 정부가 오염수에 대한 데이터를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았으며 일방적인 조사와 분석을 통해 도출된 오염수가 안전하다는 주장은 과학적 근거가 없어 신뢰성에 문제가 많다고 지적한다.

아울러, 원전 사고 이후 133만 톤이나 되는 오염수를 제대로 관리하고 있었다는 보장도 없으며, 다 핵종 제거설비로 정화되지 않는 삼중수소가 모두 반감기가 지난 저 위험 상태란 근거도 없어 오염수가 안전하다는 일본 정부의 주장에 의구심마저 든다.

안정성이 미 확보된 오염수는 방류가 아닌 투기에 불과하다. 해양환경 보호를 위해 해양 투기를 금지한 런던협약 및 의정서에도 반하는 것으로 해양생태계 보전과 미래세대를 위한 환경 지속가능성을 위해서도 안정성이 확보될 때까지 방류는 보류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시흥시의회 더불어민주당 의원 일동은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방류 결정에 심각한 우려를 표하며 다음과 같이 결의한다.

하나. 일본정부는 국제사회 및 인접국가의 동의 없는 오염수 해양 방류 추진을 즉각 중단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

하나. 일본정부는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처리와 관련된 모든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국제사회의 객관적인 검증을 받을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

하나. 우리정부는 국민의 안전과 해양생태계 보존을 위해 후쿠시마 오염수 처리에 대한 안전성 문제를 철저히 검증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

배너
배너

관련기사

배너


배너


미디어

더보기
[스토리] 수년간 하수 역류·침수… 시흥 하수관로 BTL, 부실시공 ‘사실로’ [시흥타임즈=대표/편집장 우동완] 시흥시가 2017년부터 2020년까지 신천·대야·은행동 일대에서 추진한 하수관로정비 임대형 민자사업(BTL)이 결국 부실시공으로 드러났다. 시흥시는 14일 시흥ABC행복학습타운에서 열린 민관공동조사단 결과보고회를 통해 “조사대상 3,557개소 중 142곳(3.78%)에서 부적정 시공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정화조 미폐쇄·부실폐쇄 106건, 오수받이 매립·확인 불가 20건, 주변 지반침하 8건 등 다수의 하자가 드러났다. 민관공동조사단은 “시행사와 시공사의 명백한 부실시공, 감리단의 현장 확인 부족, 행정의 사후 검증 부실이 겹쳤다”며 “일부 구간에서는 의도적 은폐 정황까지 확인돼 경찰 수사를 통한 진상규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편집자주] 시흥 하수관로 BTL사업 부실 의혹은 한 시민의 제보로 시작됐다. 본지는 2년간 현장을 추적하며 문제의 실체를 꾸준히 보도해왔다. 이번 기사는 민관공동조사단 결과를 포함해 그 과정을 종합 정리한 것이다. ■ ‘스모킹 건’ 2023년 첫 제보… “하수가 역류하는데 원인을 모른다” 문제의 발단은 2023년 가을, 시흥타임즈에 접수된 한 제보였다. 대야동 상가건물에 거주하던 A씨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