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종합뉴스

[객원기자석] 배곧-월곶 연결교량 건립, 월곶주민들의 반응은?

[시흥타임즈= 박소영 객원기자] 지난 3월 26일, 월곶문화센타에서 배곧신도시와 월곶포구를 연결하는 배곧~월곶 연결로 건립사업을 앞두고 월곶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설명회가 열렸다.

 

이번 설명회는 교통개선대책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차도연결교량 건립에 따른 찬반의견을 듣고 주민 불편해소와 상생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4년 전 같은 주제로 열렸던 설명회에서는 주민들의 반대가 심해 사업진행이 무산되었으나 이번 설명회의 분위기는 사뭇 달랐다.

 

월곶 주민은 월곶의 큰 미래를 본다면 국가어항의 설치는 관광지로 개발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이젠 선택의 여지가 없습니다. 시간을 더 이상 낭비하지 말고 월곶을 살릴 수 있는 그런 하나 된 마음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고 말했다.

 

또 다른 주민은 출퇴근 시간에는 월곶 진입도로 정차가 심합니다. 연결교량으로 건립을 통해 교통을 분산시켜 원활한 소통을 기대합니다. 월곶이 발전하지 못한 이유는 길이 막혀 있기 때문입니다. 저 길은 배곧만을 위한 길이 아닙니다. 길은 다양하게 여러 방면으로 연결되어야 유동인구도 많아지고 발전될 수 있는 여러 가지 기회가 생길 것입니다우리 주민들이 보다 발전적인 방향으로 공통 된 의견을 모아야 할 것입니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주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듣고 "교량 공사를 하면서 발생하는 소음이나 분진에 대한 저감 조치를 할 것이다그리고 차도가 연결되면 차량통행이 많아지는 것은 사실이지만횡단보도 설치 및 학교 앞 어린이보호구역 지정을 해 차량에 대한 속도제한을 하는 등 주민불편문제에 따른 시설을 보완하겠다.“라고 답했다.

 

설명회에 참여한 주민들에게 연결교량 설치가 지역에 가져올 효과는 무엇일지, 실시설계 진행시에 가장 주안점을 두어야 하는 것은 무엇인지, 향후 배곧과 월곶을 연결하는 보행육교 사업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사항은 무엇인지에 대해 주민 의견 조사서를 작성하도록 했다.

 

시흥시는 배곧~월곶 연결로 건립사업 사업비 총 360억 원을 마련배곧동 해송십리로~월곶동 중앙로를 연결하는 차도교량(260m) 4차로와 배곧동 해송십리로~월곶동 해안로 일원 보행육교(200m, 5m)를 건립한다고 밝혔는데이날 설명회에서는 보행육교의 구체적인 계획발표는 없었다.

 


배너
배너

관련기사

배너


배너


미디어

더보기
시흥시, 관내 모든 학교와 ‘시설 개방’ 협약 [시흥타임즈] 시흥시가 학교 체육관 및 운동장 등 공공 체육시설 개방 확대를 위해 관내 94개 모든 학교와 ‘학교 시설 개방 활성화 협약’ 체결을 완료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시흥시-시흥교육지원청-학교-시흥시체육회’와 함께 지역사회 체육 활동 공간 확대와 교육공동체 협력을 위해 추진됐다. 시는 2022년 8월 학교 시설 개방 활성화를 위한 최초 협약을 시작으로, 지난해 9월에는 협약 연장을 통해 관내 94개교 중 85개교가 재참여했다. 이후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미협약 상태였던 9개교도 협약에 참여함으로써 시흥시 관내 모든 학교와의 협약이 마무리됐다. 협약에 추가로 참여한 학교는 배곧라라초ㆍ중, 서해초, 소래초, 시화나래초ㆍ중, 시화초, 군서고, 서해고 등 9개교다. 시는 협약을 통해 2년간 학교 개방에 따른 공공요금, 시설 보수비 등 운영비와 개방을 위한 시설개선비를 지원하기로 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학교 시설을 지역사회에 개방함으로써 시와 지역 주민, 학교가 상생하는 공동체 기반을 다지는 계기가 됐다. 임병택 시흥시장은 “관내 모든 학교와의 협약 체결은 지역사회와 학교 간 신뢰와 협력의 결실인 만큼, 학교가 지역의 열린 공간으로 자리매김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