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7℃
  • 구름조금강릉 11.2℃
  • 흐림서울 7.6℃
  • 박무대전 3.2℃
  • 맑음대구 2.5℃
  • 맑음울산 5.3℃
  • 박무광주 4.1℃
  • 구름조금부산 9.3℃
  • 맑음고창 2.0℃
  • 맑음제주 8.9℃
  • 맑음강화 3.7℃
  • 맑음보은 -0.3℃
  • 구름많음금산 -0.5℃
  • 구름많음강진군 1.7℃
  • 맑음경주시 -0.2℃
  • 맑음거제 4.5℃
기상청 제공

종합뉴스

깨진 유리창의 법칙 여실히 보여주는 '신천역 출입구'

눈살 찌푸려지는 서해선 신천역 출입구 모습



[시흥타임즈=주호연 객원기자]


시민의 편의를 위한 시설이 오히려 시민을 불편하게 한다. 


여기저기 방치된 채 놓여있는 자전거와 오토바이, 공유 킥보드 사이로 시민들이 걷고있다. 24일 경기도 시흥시 신천역 4번 출입구의 모습이다. 


지하철역 출입구는 해당 지역을  방문하는 사람들이 도시의 느낌을 처음으로 접하는 곳이다.  첫인상이 아름답거나 지역의 특성을 느낄수 있도록 매력적이진 않더라도 흉물스럽고 안전하지 못한 현재의 상태는 납득가지 않는다. 


『시흥시 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관한 조례』 제3장 中

※ 자전거 주차장의 관리ㆍ운영 ※

① 자전거 주차장은 해당 자전거 주차장을 설치한 자가 관리ㆍ운영한다.

② 자전거 주차장의 관리자(이하 “관리자”라 한다)는 관련 법령 또는 조례에 따라 선량한 관리자의 의무를 다하여 관리ㆍ운영하여야 한다.

③ 관리자는 자전거 이용자가 자전거 주차장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자전거 주차장치 등 자전거 이용시설을 상시 점검하고 보수하여야 한다.

④ 관리자는 자전거 주차장 및 주차된 자전거 등이 도시미관을 해치지 아니하도록 유지ㆍ관리하여야 한다.


시흥시 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관한 조례엔 "관리자는 자전거 주차장 및 주차된 자전거 등이 도시미관을 해치지 아니하도록 유지ㆍ관리하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실상은 위 조례의 내용이 무색할 정도다. 


그나마 소수의 자전거에 붙은 계고장의 처리기한도 수일이 지났음에도 그대로 방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고 무질서한 이용자와  방치하는 관리자만 탓할 문제는 아니다. 혹 미관을 덜 해치면서 효율적인 공간이 있을까 주변을 둘러보았지만 마땅히 이동할 만한 공간도 없다. 


이 문제는 비단 이 지역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전역 곳곳에 뿌리 깊게 골치를 섞고 있는 고질병이다.


쓰레기를 버리는 곳이 아님을 알면서도 쓰레기가 모여 있다면 그 위에 쓰레기는 계속 쌓여만 간다. 전체적인 제도 개선과 시민들의 주인의식이 필요하다.


깨진 유리창 하나를 방치해 두면, 그 지점을 중심으로 범죄가 확산되기 시작한다. 사소한 무질서를 방치하면 큰 문제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 깨진 유리창 이론 >을 각인시켜 쾌적하고 안전한 시흥시로 거듭나길 바란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

더보기
작은자리복지관, '전문의와 함께하는 독거 어르신 건강관리' [시흥타임즈] 작은자리종합사회복지관(관장 손현미)은 지난 11월 20일 ‘우리함께 뚝딱뚝딱 행복울타리’ 사업의 일환으로 독거노인 22명과 종사자 21명을 대상으로 노인 건강관리 교육을 진행했다. 이번 교육은 프로그램 종료 이후에도 어르신들이 스스로 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마련되었으며, 단백질 섭취의 중요성과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건강관리 방법을 공유하는 시간으로 꾸며졌다. 특히 박운식 가정의학과 전문의(前 소래가정의원 원장)를 초청해 전문적이고 실질적인 건강 정보를 제공했다. 교육에 참여한 황모 어르신은 “프로그램 덕분에 잃었던 입맛을 되찾아 행복했다. 마지막까지 건강교육까지 챙겨주셔서 감사하다. 단백질 섭취 잘 챙기고 건강하게 지내다가 다시 복지관에 오겠다”고 소감을 전했다. 또 다른 참여자 김모 어르신은 “몇 달 동안 형님·아우처럼 지내며 텃밭도 가꾸고 함께 요리하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마지막에 의사선생님까지 오셔서 건강을 챙겨주시니 너무 감사하다”고 말했다. ‘행복울타리’ 사업은 미래에셋생명과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의 후원으로 6월부터 11월까지 매주 1회, 총 21회기에 걸쳐 운영됐다. 텃밭 활동, 요리교실, 나들이, 자조모임, 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