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조금동두천 14.2℃
  • 맑음강릉 16.2℃
  • 맑음서울 14.5℃
  • 맑음대전 15.5℃
  • 맑음대구 15.0℃
  • 맑음울산 16.1℃
  • 맑음광주 14.9℃
  • 맑음부산 16.3℃
  • 맑음고창 15.3℃
  • 구름조금제주 16.0℃
  • 맑음강화 13.2℃
  • 맑음보은 14.1℃
  • 맑음금산 14.4℃
  • 맑음강진군 16.0℃
  • 맑음경주시 14.9℃
  • 맑음거제 13.8℃
기상청 제공

종합뉴스

시흥시, 대규모 사업에 들어갈 돈 '지방채' 발행해 메운다

15년 만에 지방채 2천억 원 발행 추진

[시흥타임즈=대표/편집장 우동완] 시흥시가 사회기반시설 조성 등에 투입할 목적으로 지방채 2천억 원 발행을 검토하고 있다. 지난 2009년 배곧신도시 토지 매입을 위해 지방채를 발행한 이후 15년 만이다. 

29일 시흥시와 시의회 등에 따르면 시는 매화역, 장곡역 등 철도 건립에 필요한 자금 등 사회기반설 조성에 필요한 예산을 적시에 투입할 목적으로 지방채 2천억 원 발행을 추진, 오는 5월 시의회에 공식 보고할 예정이다. 

시는 지방채 발행 배경으로 중앙에서 시로 들어올 예정이었던 내국세의 결손이 크고 올해 철도 건립 등 대규모 투자사업이 몰려, 여기에 들어가야 할 예산 부족하다는 이유다. 

따라서, 세수 축소 영향으로 사회기반시설 등의 투자 가용재원이 부족한 상태에서 지방채 발행을 통해 적시에 자금을 투입, 투자 지연을 방지하겠다는 설명이다. 

시는 올해 내국세 결손 보전 192억과 철도 및 건립 사업 등 투자사업에 필요한 752억 등 총 944억 원의 지방채를 발행하고, 1056억 원은 내년에 발행한다는 계획이다. 

지방채의 이자율은 6.8%로 예상되고 상환은 2년 거치 5년 균등으로 오는 26년부터 30년까지 5년간 분할로 상환하겠다는 목표다.

관련해 시 관계자는 “지방채 발행을 검토 중으로 물가 상승률이나 인건비 인상 등을 고려할 때 사업의 적시 투자가 늦어져 발생 될 수 있는 부담이 지방채 이자 발생보다 훨씬 높다” 며 “수원이나 부천, 성남 등 대도시권들은 이미 지방채를 발행해서 도시를 유지하고 있어 공식적으로 시의회의 의견을 청취한 이후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시는 지방채 발행과 관련해 최근 시흥시의회 민주당 시의원들에게 사전 설명을 마쳤으며, 국민의힘 대표와도 소통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일부 시의원들은 지방채 발행의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급히 지방채 발행안을 올린다는 것에 불만을 표출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 시의원은 “이렇게 상황이 전개될 것이라는 것을 시가 본 예산 수립 전부터 이미 알고도 의회와 사전에 아무런 소통도 없다가 시일이 급박한 상황에서 느닷없이 보고를 한다고 하니 난감하다”고 했다. 

한편, 시흥시는 지난 2009년 배곧신도시 토지 매입을 위해 3천억 원의 지방채를 발행했다가 2016년 이를 모두 상환하며 채무 제로 도시를 선언한 바 있다. 

[관련기사]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오마이뉴스에도 실립니다.

배너
배너

기자정보

프로필 사진
우동완 기자

차가운 머리와 뜨거운 가슴으로 뛰겠습니다.

배너


배너


미디어

더보기
작은자리복지관, '전문의와 함께하는 독거 어르신 건강관리' [시흥타임즈] 작은자리종합사회복지관(관장 손현미)은 지난 11월 20일 ‘우리함께 뚝딱뚝딱 행복울타리’ 사업의 일환으로 독거노인 22명과 종사자 21명을 대상으로 노인 건강관리 교육을 진행했다. 이번 교육은 프로그램 종료 이후에도 어르신들이 스스로 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마련되었으며, 단백질 섭취의 중요성과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건강관리 방법을 공유하는 시간으로 꾸며졌다. 특히 박운식 가정의학과 전문의(前 소래가정의원 원장)를 초청해 전문적이고 실질적인 건강 정보를 제공했다. 교육에 참여한 황모 어르신은 “프로그램 덕분에 잃었던 입맛을 되찾아 행복했다. 마지막까지 건강교육까지 챙겨주셔서 감사하다. 단백질 섭취 잘 챙기고 건강하게 지내다가 다시 복지관에 오겠다”고 소감을 전했다. 또 다른 참여자 김모 어르신은 “몇 달 동안 형님·아우처럼 지내며 텃밭도 가꾸고 함께 요리하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마지막에 의사선생님까지 오셔서 건강을 챙겨주시니 너무 감사하다”고 말했다. ‘행복울타리’ 사업은 미래에셋생명과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의 후원으로 6월부터 11월까지 매주 1회, 총 21회기에 걸쳐 운영됐다. 텃밭 활동, 요리교실, 나들이, 자조모임, 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