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종합뉴스

시흥시, 외국인 등 코로나19 사각지대 지원 확대…제2회 추경 2,759억 증액 편성

추경예산안 임시회 거쳐 오는 22일 확정될 예정

[시흥타임즈] 시흥시가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2조 147억 원 규모의 ‘2020년 제2회 추가경정 예산안’을 편성한다.

이번 추경 예산안은 코로나19 피해 사각지대 지원,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지역경제 회복 및 고용 확대 시책사업, 지역현안사업 등에 활용할 계획이며, 예산 규모는 제1회 추경예산 1조 7,388억 원 대비 2,759억 원(15.9%) 증가한 2조 147억 원으로, 이중 일반회계는 2,658억 원이 증가한 1조 3,944억 원이다. 

이는 지난 4월 의결된 코로나19 1회 추경 1,001억 원에 이은 올해 두 번째 긴급 추경으로 당시 지원 규모의 2배가 넘는 수준이다.

시흥시는 이번 추경예산의 부족한 가용재원 확보를 위해 공공분야의 경비 절감과 코로나19로 취소 또는 축소된 사업의 예산 조정, 기존사업의 공정 시기 등을 재검토해 감액 편성하는 등 마른 수건을 짜내는 심정으로 최대한의 재원을 마련했다.
 
또한, 공영개발사업 특별회계 회전기금 자금을 일반회계로 차입해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시민의 생계 및 소득 보장에 필요한 재원으로 활용하기로 했다.

주요 사업으로는, 정부 추경에 따른 긴급재난지원금(1,135억)의 신속한 지원, 코로나19 피해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연매출액 3억 원 미만 소상공인 및 운수종사자에게 50만 원을 지원하는 시흥형 긴급생활안정자금 추가(부족)분 20억 원, 관내 거주 외국인(결혼이민자·영주권자)에게 시흥시 재난기본소득(10만 원) 지급 10억 원을 반영하는 등 민생안정·지역경제 회복을 위해 1,700여억 원을 편성했다.

또한, 재난·재해 예방을 위한 재난관리기금에 50억 원, 소래산 첫마을 등 도시재생사업에 64억 원, 장애인 가족지원센터 이전설치 28억 원 등 복지수요 예산에 250여억 원, 목감·은계2 어울림센터 20억 원 등 지역 현안 및 기반시설 투자사업으로 300여억 원을 편성했다.

시흥시는 이러한 내용의 2020년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을 편성해 오는 제276회 시흥시의회 임시회에 제출하고 심의를 요청했으며, 시의회 의결 즉시 모든 행정절차를 최대한 단축해 신속히 집행함으로써 지역경제 회복에 마중물이 되도록 할 계획이다.

임병택 시흥시장은 “이번 추경을 통해 코로나19로 위축된 민생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코로나19 위기 이후를 선제적으로 대응할 것”이라며,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는 시민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민생안정 및 지역경제 활성화 사업추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시는 지난 4월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시민을 위해 시흥시 재난기본소득 및 시흥형 긴급생활안정자금 730억 원 등을 편성한 바 있으며, 이번 제2회 추경예산안은 임시회를 거쳐 오는 22일 확정될 예정이다.


배너
배너

기자정보

프로필 사진
우동완 기자

차가운 머리와 뜨거운 가슴으로 뛰겠습니다.

배너


배너


미디어

더보기
[스토리] 수년간 하수 역류·침수… 시흥 하수관로 BTL, 부실시공 ‘사실로’ [시흥타임즈=대표/편집장 우동완] 시흥시가 2017년부터 2020년까지 신천·대야·은행동 일대에서 추진한 하수관로정비 임대형 민자사업(BTL)이 결국 부실시공으로 드러났다. 시흥시는 14일 시흥ABC행복학습타운에서 열린 민관공동조사단 결과보고회를 통해 “조사대상 3,557개소 중 142곳(3.78%)에서 부적정 시공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정화조 미폐쇄·부실폐쇄 106건, 오수받이 매립·확인 불가 20건, 주변 지반침하 8건 등 다수의 하자가 드러났다. 민관공동조사단은 “시행사와 시공사의 명백한 부실시공, 감리단의 현장 확인 부족, 행정의 사후 검증 부실이 겹쳤다”며 “일부 구간에서는 의도적 은폐 정황까지 확인돼 경찰 수사를 통한 진상규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편집자주] 시흥 하수관로 BTL사업 부실 의혹은 한 시민의 제보로 시작됐다. 본지는 2년간 현장을 추적하며 문제의 실체를 꾸준히 보도해왔다. 이번 기사는 민관공동조사단 결과를 포함해 그 과정을 종합 정리한 것이다. ■ ‘스모킹 건’ 2023년 첫 제보… “하수가 역류하는데 원인을 모른다” 문제의 발단은 2023년 가을, 시흥타임즈에 접수된 한 제보였다. 대야동 상가건물에 거주하던 A씨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