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기획/특집

6월 독립운동가 조병준 선생

국가보훈처는 광복회·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의병투쟁을 비롯해 서간도 대한독립단 지도자, 임시정부 연통제 평북독판부 독판, 내몽고 독립운동 개척자로서 폭넓게 독립운동을 이끈 조병준 선생을 6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했다.

 

선생의 자는 유평(幼平), 호는 국동(菊東)이다. 평북 의주군에서 태어나 3세 때 부친에게서 한문을 배우기 시작해 운암 박문일의 문하생으로 수학했다.

 

189510월 명성황후가 시해되자 유인석 의거에 호응해 평안북도 창성에서 의병활동을 하다가 체포돼 2년간 옥고를 치르던 중 광무황제의 특사로 출옥했다.

 

1910년 경술국치 후 재차 의병을 일으켜 평북 창성의 일본헌병대를 습격했으나 일제의 병력이 증강돼 국내에서의 활동이 어렵게 되자 압록강을 건너 만주로 망명했다. 관전현과 환인현 등지에 근거를 마련하고 의병장 전덕원, 박장호, 이진용, 조맹선, 백삼규 등과 함께 농무계와 향약계 등을 조직해 교민들의 식산(殖産)과 교육에 힘썼다.

 

19193·1운동이 일어나자 유림단과 포수단 등을 주축으로 만주 유하현 삼원보에서 대한독립단을 조직하고 총참모에 선임돼 도총재 박장호, 부총재 백삼규, 총단장 조맹선, 부단장 최영호 등과 함께 무장 독립운동을 전개했다. 그 후 동 단체가 양분되자 민국독립단 도총재로 활동했다.

 

1919,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국내지방행정 조직인 연통제 평북독판부 독판에 선임돼 평안도와 황해도에 89개 지단을 설치하는 등 조직 확대에 힘썼으며, 1920년에는 임시정부 직할기관인 광복군 참리부장으로 활동했다.

 

1923년 통의부 통의부장이 됐으나 곧 사임하고, 일제의 만주침략을 예견하고 동지 및 가족 80여 명을 인솔해 내몽고 수원성 포두현 중탄으로 이주했다. 이들은 도산 안창호가 미주 동포에게서 마련해 지원한 이주자금과 중국 국민당 정부의 주선으로 농지 약 60만 평을 임차해 배달농장을 세우고, 배달학교와 대종교 수광시교당(綏光施敎堂)을 설립했으며, 청년들에게 군사훈련을 실시함과 아울러 민족의식을 고취했다.

 

선생은 이곳에 의민부를 설립하여 배달농장의 수입금으로 임시정부에 독립 자금을 제공하는 등의 활동을 전개하다가 1931102일 포두현 중탄에서 70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정부는 선생의 공훈을 기려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

더보기
시흥시, 디지털정부 혁신 유공 장관 표창 [시흥타임즈] 시흥시(시장 임병택)는 ‘2025년 디지털정부 혁신 유공’을 인정받아 공공데이터 개방·활용 분야 우수기관으로 선정돼 장관 표창을 받았다고 20일 밝혔다. 시는 그동안 데이터 인재 양성 선도기관 인증을 획득하고, 데이터 분석 전문인력 양성, 데이터 공동 활용 확대, 데이터 분석을 통한 정책 결정 지원 등 각 분야에 걸쳐 지속적인 데이터 행정 혁신을 추진해 왔다. 공공데이터의 개방 및 품질 관리뿐만 아니라 공공데이터 활용도 제고를 위해 민간 활용도가 낮은 공공데이터를 분석·개선하고, 개방과 품질 관리 수준을 높이는 데 꾸준히 힘써왔다. 이번 수상은 행정안전부가 중앙행정기관ㆍ지방자치단체ㆍ공공기관 등 679개 기관을 대상으로 진행한 데이터기반행정 실태점검 평가에서 탁월한 성과를 인정받은 결과다. 평가는 ▲분석ㆍ활용 ▲공유 ▲관리체계 등 3개 영역 10개 세부 지표를 기준으로 진행됐다. 특히, 시흥시는 아이누리돌봄센터 설치 시 사전 입지 분석을 하고 1인 가구 특성 분석을 기반으로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등 다양한 정책에 빅데이터 기법을 접목해 왔다. 또한, 각종 공공데이터를 최신 정보로 제공해 시민의 편의성을 높이는 정책을 추진한 점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